카테고리 없음

하드웨어 규모 산정 지침

3604 2024. 5. 27. 09:13
728x90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_20231206.pdf
1.18MB

OLTP란?

OLTP(Online Transactional Processing)는 ATM 및 온라인 뱅킹, 금전 등록기, 전자상거래 그리고 우리가 매일 상호작용하는 수많은 기타 서비스를 위한 신속하고 정확한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OLTP(Online Transactional Processing)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많은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을 실시간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데이터베이스 트랙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변경, 삽입, 삭제 또는 쿼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OLTP 시스템(그리고 OLTP 시스템이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은 온라인 뱅킹 및 ATM 트랜잭션, 전자상거래 및 오프라인 구매, 호텔 및 항공권 예약 등 우리가 매일 수행하는 금융 거래 중 다수를 지원합니다. 각각의 경우에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은 또한 해당 금융 트랜잭션의 레코드로 남아 있습니다. OLTP는 또한 비밀번호 변경 및 문자 메시지와 같은 비금융 데이터베이스 교환도 지원합니다. 

OLTP에서 모든 데이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을 정의하는 공통된 특징은 원자성 (또는 분할 불가능성)입니다. 즉, 트랜잭션은 전체로서 성공하거나 실패합니다(또는 취소됩니다). 트랜잭션은 보류 또는 중간 상태에 머물 수 없습니다.

 

 


 

tpmC 에 대하여 (Transaction Processing Performance Council : 성능평가) TECH

2009.02.09 14:46 

CLAP4YA Edit

tpmC

 

TPC(Transaction Processing Performance Council, http://www.tpc.org) 에서 TPC-C 벤치마크 시나리오에 대한 1분당 최대처리건수를 나타내는 수치로써, DB기반 OLTP 미들웨어 시스템 서비스를 위한 H/W의 성능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각 벤더들은 tpmC수치를 제시하지 않는 추세이며, 각자 고유한 수치의 성능자료를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IBM pSeries의 경우 rPerf값을 사용합니다.

 

TPC는 Transcation Processing Perfomance Council(www.tpc.org)이라는 기관에서는 TPM(Transaction per munitue)라는 수치를 발표합니다.
 
TPC-A와 B는 1989년경 발표되었는데, 흔히 ATM이라고 부르는 은행의 무인단말기를 대상으로 실시된 벤치마크입니다. 1994년, 거의 모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들이 TPC-A/B를 충족하자, TPC-C로 대체되었습니다.
 
TPC-C 벤치마크는 너무 단순한 A/B에 비해 복잡해졌습니다.

TPC-C는 양판점(wholesale supplier)의 거래를 대상으로 만든 벤치마크 모델로 다음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합니다.
 
1) Data Base
Table name                        Size of Table per Warehouse                                 
WareHosuse                       0.089K
District                                 0.95K
Customer                            19.65K
History                                 1.38K
Order                                   720K
New-Order                          72K
Order-Line                          16.2M
Stock                                   306M
Item                                     8.2M
 
2) 다섯가지 트랜잭션의 종류가 존재합니다.
New Order, Payment, Order-Status, Delivery, Stock-Level
 
트랜잭션의 속도메트릭스는 신규주문(New-Order)트랜잭션의 분당 처리수로 표시되는 (tpmC)로 결과가 발표됩니다.
 
※ tpmC = 동시사용자수×분당 트랜잭션(사용자수×트랜잭션 복잡도(50%))+인터페이스(가중치%)×네트워크 보정(30%)×피크 타임 보정(50%)×I/O 부하(20%)×년간 업무증가 및 여유율(연 20%)
※ 메모리 용량 = {(OS 커널(100M)+[ SGA() ]+사용자수×5MB)+[Webserver()]+인터페이스(가중치%) }+여유율(30%)
 
 
TpmC기반의 용량 산정 

TpmC기반의 CPU 용량산정 방법으로
tpmC에 영향을 주는 동시 사용자 수, 트랙재션 수,기본 TPC 보정, 피크시,여유율 등 보정 계수 및 적용범위를 제시하고 있으며,
CPU용량 산정식은 아래와 같다.

 

CPU 용량(tpmC)=동시 사용자 수 *트랙잭션 수 * 기본 TPC보정치 * Peak Time 보정치 * CPU 부하 보정치
                      * 응용프로그램 복잡도 보정치 * 네트워크 보정치 * 클러스터 보정치 * 여유율 보정치

           
메모리 용량(MB)={OS 및 기본 영역 + 프로세스 수 * 응용 프로그램 장치}
                         * 버퍼 캐쉬 보정치 * 클러스터 보정치 * 여유율 보정치       
           
디스크 용량 산정 방법은 시스템 기본 영역, S/W 영역, DB영역, SWAP영역,
                        여유율 등 보정계수 및 적용범위를 제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다음과 같은 디스크 용량산정 식을 제시하고 있다.

 

내장디스크 용량(MB) = {시스템 OS영역 + 응용프로그램 영역 + 상용 소프트웨어 영역}
                                * SWAP영역 * 여유율 보정치        

 

외장디스크 용량 ={DB여역 + 백업영역} * RAID영역 * 여유율 보정치 

[출처] TpmC기반의 용량 산정|작성자 북풍

 

 

서버(server) 사양(하드웨어, 장비) 산정 사이트 ( tpmc, tpc )

간혹 사내 서버의 사양을 산정 해야 될때가 있다.

이럴 때 무슨 근거 자료를 가지고 할 것인가가 관건인데.

 

일반적으로 TPMC값으로 하는것은 공인된 방법입니다.

 

여기 저기서 모은 기술 문서에 의거하여 적절한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그 공식을 토대로 회사에서 필요 할것 같아 하나의 홈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http://tpc.wyzsoft.com:8888

여기 사이트에서 서버의 사양을 산정할수 있다.

 

몇가지 정보만 입력하게 되면 바로 우측에 서버의 CPU, MEM, HDD 이렇게 3가지의

사양이 산정 되어 출력 됩니다.

 

또한, intel cpu 포함을 체크 하게 되면 상당이 많은 정보가 나오며, 각 tpmc값은 실제

http://www.tpc.org/ 에서 각 tpmc 값에 대한 서버 사양 정보를 스크랩해서

직접 스크립트로 만들어서 DB에 저장했으며, 이 정보에 기록된 tpmc값과 해당 사이트에서 산정된 tpmc값을

between 으로 2000 안팎의 서버를 보여 주며, 벤더 서버및 조립 서버 사양을 각각 보여줍니다.

 

--설명

CPU, MEM, HDD 이렇게 총 3파트로 나눠지며, 해당 입력란의 가운데에 마우스를 오버하면

풍선 도움말이 나온다.

 

본론으로 들어 가면, 일단 서버및 컴퓨터의 사양 산정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서 만들기 시작 했으며,

단, 필요 한 사람이 본다면 상당한 도움이 될것이고, 그렇지 않은 분이 본다면,

아마도 스쳐지나가는 사이트가 될것입니다.

 

그리고 풍선 도움말 만들다 귀찮아서.ㅡㅡ;;  이해 해주세요.

칸쵸애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