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가상화는 반가상화(para virtualization)과 전가상화(HVM)으로 나뉜다.
(추가적으로 type1:native,bare-metal 방식과 type2:hosted로 나누기도 하는데,
hostOS가 필요없는 type1: Xen, hostOS가 필요한 type2: KVM 이다 : REF-NEW REF-SITE )
cloudStack + Xen으로 대표되는 반가상화 방식이 우수했으나, 내가 느낀 약간의 단점은
단점1. Xen의 네트웍 delay,
단점2. fork시 시간지연
최근 openstack + KVM의 전가상화가 이것을 극복하는 모습니다.
원래는 전가상화가 Mgmt에서 HW와 guestOS간의 바틀넥이 될 수 있으나,
KVM은 linux자체를 변형해서 만든 hypervisor인 만큼 이 문제가 적어 보인다.
openstack + KVM구성도:
(여기서 VM process는 QEMU 위에 올라가게 된다)
728x90
반응형
'컴퓨터 활용(한글, 오피스 등) > 50_2.운영체제_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_설치 (0) | 2022.10.27 |
---|---|
우분투_서버_콘솔 글꼴을 변경하는 방법 (0) | 2022.10.27 |
리눅스_우분투_설치 후 부팅 에러 (1) | 2022.10.25 |
리눅스_우분투_설치 파일 차이점 (0) | 2022.10.25 |
우분투_SSH 서비스, 서비스 자동 실행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