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시스템의 시간을 변경하고 싶을때에는
1. 간단하게 타임서버를 이용하는법도 있고
2. 직접 입력하여 수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3. TimeZone 변경
4. 서버(하드웨어)의 시간 변경도 알아보자.
1. 타임서버 이용법.
rdate -s 타임서버
타임서버는 :
time.bora.net
time.nist.gov
time.nuri.net
time.kriss.re.kr
time.windows.com
등을 사용하면 된다.
root 권한으로
rdate -s time.bora.net
과 같은 방법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간단하게 수정이 가능하다.
2. 직접 수정법
date -s "28 OCT 2013 18:32:40"
date -s "2013-10-28 18:32:40"
date -s "20131028 18:32:40"
시간만 변경하고 싶을때는
date -s "18:32:40"
처럼 이용하면 되겠다.
3. TimeZone 변경
설치시 따로 지정하지 않았다면, 리눅스시스템의 TimeZone 은 UTC 로 되어 있다.
date 명령어로 확인해 보면
Thu Oct 30 18:32:40 UTC 2013 <-- 처럼 되어 있는 경우다.
우리나라의 TimeZone 으로 세팅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Thu Oct 30 18:32:40 KST 2013
단순 시간설정보다 근본적인 문제이므로, 확인하고 변경해 준다.
우리나라 시간대로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usr/share/zoneinfo/ 경로를 보면 여러 지역의 Timezone 파일이 존재하며 /etc/localtime 에 심볼릭링크 해주면 된다.
한가지 더 추가하면, 리눅스 시스템 이외에 여러 프로그램 또는 컴파일러에서 시스템의 TimeZone 을 인식할때는
/etc/timezone 파일을 참조함으로 /etc/timezone 의 내용도 변경해 주자.
echo 'Asia/Seoul' > /etc/timezone
단순히 /etc/timezone 파일을 열어서 Asia/Seoul 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4. 서버(하드웨어) 시간
1, 2는 리눅스시스템의 시간 설정법이다.
하드웨어인 서버의 자체 시간을 다루는 것은 hwclock 명령어를 이용한다.
서버(하드웨어)시간 조회
hwclock
(Linux)시스템 시간을 => 서버(하드웨어) 시간으로 동기화
hwclock -w
서버(하드웨어)시간을 => (Linux)시스템 시간으로 동기화
hwclock -s
'컴퓨터 활용(한글, 오피스 등) > 50_2.운영체제_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_종료 및 재시작 명령어 (0) | 2022.11.11 |
---|---|
리눅스_bonding, Vlan, Bridge, Bond / Vlan, Bonding/ Vlan/ Bridge 예제 (0) | 2022.11.10 |
[작업중] 리눅스_How to Install KVM on Ubuntu 22.04 (0) | 2022.11.03 |
리눅스_가상화 정리(QEMU, KVM, Xen, Xen Server, libvirt, virsh, virt-install, XML Format) (0) | 2022.11.03 |
[작업중] kvm 설치 (0) |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