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윈도우 단축 명령키(.msc, .cpl, 프로그램, .exe) :: 김병희의 정보보호 공간(Bang's Security)
윈도우 단축 명령키(.msc, .cpl, 프로그램, .exe)
구분 | 내용 | Window 적용 여부 | |
Windows 7 | Windows 10 | ||
.cpl | |||
appwiz.cpl | 프로그렘 제거 또는 변경 | O | O |
firewall.cpl | Windows 방화벽 | O | O |
desk.cpl | 디스플레이 모양 변경 | O | O |
hdwwiz.cpl | 장치관리자 | O | O |
inetcpl.cpl | 인터넷 속성 | O | O |
intl.cpl | 국가 및 언어 | O | O |
main.cpl | 마우스 속성 | O | O |
mmsys.cpl | 소리 | O | O |
ncpa.cpl | 네트워크 연결 | O | O |
powercfg.cpl | 전원 옵션 | O | O |
sysdm.cpl | 시스템 속성 | O | O |
timedate.cpl | 날짜 및 시간 |
구분 | 내용 | Window 적용 여부 | |
Windows 7 | Windows 10 | ||
.msc | |||
services.msc | 서비스 | O | O |
lusrmgr.msc | 로컬사용자 및 그룹 | O | O |
diskmgmt.msc | 디스크 관리 | O | O |
compmgmt.msc | 컴퓨터 관리 | O | O |
secpol.msc | 로컬 보안 정책 | O | O |
fsmgmt.msc | 공유 폴더 | O | O |
devmgmt.msc | 장치 관리자 | O | O |
eventvwr.msc | 이벤트 뷰어 | O | O |
gpedit.msc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 O | O |
perfmon.msc | 성능 모니터 | O | O |
rsop.msc | 정책 결과 집합 | O | O |
구분 | 내용 | Window 적용 여부 | |
Windows 7 | Windows 10 | ||
프로그램 | |||
calc | 계산기 | O | O |
dfrgui | 디스크 조각모음 | O | O |
msconfig | 시스템 구성 | O | O |
mstsc | 원격 데스크톱 연결 | O | O |
notepad | MS 메모장 | O | O |
osk | 화상키보드 | O | O |
mspaint | 그림판 | O | O |
regedit | 레지스트리 편집기 | O | O |
구분 | 내용 | Window 적용 여부 | |
Windows 7 | Windows 10 | ||
.exe | |||
resmon | 리소스 모니터 | O | O |
taskmgr | Windows 작업 관리자 | O | O |
cmd | 명령 프롬프트 | O | O |
msra | 원격지원 | O | O |
rstrui | 시스템 복원 | O | O |
optionalfeatures | Windows 기능 사용/사용 안함 | O | O |
windows 기본 단축키
windows 단축키

windows 단축키 ( 모든 버전 지원 )

windows 단축키 ( windows 7이상 지원 )

network interface 설정 확인
설정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 확인
C:W>ipconfig [ option ]
ㄴ IP, subnet mask , gateway 정보 확인
ㄴ /all 옵션을 사용하여 상세 정보 확인 가능


network interface 설정
네트워크 연결 관리 도구 -> ncpa.cpl
ㄴ 실행창 - ncpa.cpl -> 인터페이스 우 클릭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 TCP/IPv4 ) -> 속성

network interface 설정
자동으로 IP주소 받기 -> DHCP 서비스를 통해 IP 설정
대체구성 - 1) DHCP 서비스를 통한 IP할당이 실패하는 경우 대신 사용할 IP 설정 항목
- 2) 자동개인 IP -> 표준으로 지정된 대체 IP사용 (169.254.0.0 / 16)
- 3) 사용자 구성 -> 관리자가 수동으로 대체 IP를 설정하여 사용
windows 계정 관리
계정
사용자를 식별하고 인증을 받거나 로컬 /네트워크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객체
사용목적
사용자 식별 -> 인증 /접근
권한 할당 -> 보안성 향상
사용자 별 환경 제공 - 인식할 수 있는 하드웨어 성능 , 관리기능 , 제공 서비스 등이 다름
관리 도구
GUI : 컴퓨터 관리 ()
win Server <------------------------------> Client
client 가 server에 들어갈 때 ID( 사용자 계정 이름 )와 PW입력
ㄴ SAM 파일[ C:WwindowsWsystem.32WconfigWSAM ] - id와 pw가 일치하는 지 확인 하는 파일
서버에서 client 에게 Access token 을 보내줌
ㄴ Access token - 임시 식별 값 ( 사용자의 정보를 담고 있는 ) / 로그인 할때마다 발급 / [ SID(= 해당 계정을 식별하기 위한 값 ), 소속그룹,권한... ] / Access token을 받은 뒤 정보를 바꾸면 바로 적용 X
+) 사용자 전환 : 로그아웃 하지 않고 access token을 그대로 둠
로그오프 : 로그아웃 하고 받은 access token을 버림
- windows 로그인
계정 및 암호 입력
입력된 정보와 저장된 정보 비교
정보가 동일하면 access token 발급 후 로그온
- access token
로그온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임시 식별 값
SID , 소속 그룹 , 권한 등
- 로컬 계정 저장 위치
%systemroot%system32WconfigWSAM
ㄴ [ %systemroot% : 운영체제가 설치된 폴더 (C:Wwindows) ]
SAM에 계정 정보 저장시 암호는 암호화되어 저장
-> 환경 변수 앞뒤에 %를 붙임 (환경변수 :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
- 사용자 계정 생성 시 계정에 대한 홈 폴더 자동 생성
C:Wusers
- 계정 표현 방법
user Logon name : 계정명 (administrator)
Pre windows 2000 logon name : 호스트명W계정명 (win-14Wadministrator) / 호스트명 확인 : sysdm.cpl 입력
- 계정 확인

- 계정 생성 ( GUI )

- 계정 수정 ( GUI )

- 계정 삭제 ( GUI )
사용자 계정 우 클릭 -> 삭제
- 계정 생성 ( TUI ) # net user 계정이름 * /add --- ( * : 패스워드를 나중에 설정 / 패스워드 바로지정 가능 )

[ 실습 ]
+) 계정이름 : Bae , 전체이름 : 배영택 사원 , 설명 : 영업 1팀 , 암호 : P@ssw0rd , 계정 비활성화 , 암호 변경 불가로 계정 생성
-> net user Bae P@ssw0rd /fullname:"배영택 사원" /comment:"영업1팀 /active:no /passwordchg:no /add
계정 확인 ( TUI )
> net user 계정명
계정 수정 ( TUI )
> net user 계정명 [수정 옵션]
권한 있는 사용자면 암호를 몰라도 옵션 및 암호 수정 가능

- SID ( Security identifier ) - 같은 값 사용 X (사용한 값 재사용 x )
보안 식별자
Microsoft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자 및 사용자 그룹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고유 이름
사용자 계정을 삭제해도 권한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함
SID 확인
접속중인 사용자 SID 확인 > whoami /user
모든 사용자 계정의 SID 확인 > wmic useraccount get name,sid

SID 구성

'컴퓨터 활용(한글, 오피스 등) > 50_1. 운영체제_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 엣지에서 로그인 안될 때 (0) | 2024.12.04 |
---|---|
[Windows 11] 속성(오른쪽 클릭) 윈도우10 버전으로 변경하기 (0) | 2024.11.15 |
윈도우 사용자 계정 변경(MS 계정 ↔ 로컬 계정) 방법 (0) | 2024.11.11 |
Microsoft Visual C++ Runtime Library AIO(All in One) 활용 방법_abbodi1406 재배포 Repack (0) | 2024.05.29 |
C# Crystal Report 예제(편집, 인쇄) (0)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