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yongsop.tistory.com/90
[Vim-LaTeX] 윈도우즈에서 Vim으로 LaTeX 사용하기. MikTeX
(gguro) 2017. 9. 18. 20:12[Vim-LaTeX] 윈도우즈에서 Vim으로 LaTeX 사용하기. MikTeX
Vim으로 논문을 쓰면 뭔가 기분이 좋다. 근데 윈도우즈에서 Vim과 LaTeX을 연결하는 게 만만치가 않다. 한 번 해보자.
http://vim-latex.sourceforge.net/
일단 따라서 했고, compile을 위해서 \ll 을 눌러보았다. 그랬더니 에러가 뜬다.
File `revtex4-1.cls' not found.
revtex class file을 못 찾는다는 건데. 어디 있긴 있을텐데 흠...
참고: http://scientificandhpcomputing.blogspot.com.au/2010/09/install-revtex-41-into-miktex-28.html
없나보다.
일단 revtex4.1을 다운 받자.
https://journals.aps.org/revtex/revtex-faq#download
압축을 풀고 README 파일을 열어보면
Install required packages (AMS-LaTeX, natbib, textcase, and bm).
Please consult the documentaton for your local TeX package for more information.
MikTeX users should use a recent version (see http://miktex.org/) and consult
the documentation there. There are several steps you will have to do. Please
note that the steps given here may change with future versions of MikTeX, but
the basic steps should be quite similar.
1) Create a texmf-local directory if needed. For example, you might create
a directory such as C:\local\miktex\texmf-local.
2) Tell MikTeX where your texmf-local directory is. Find the MikTeX Options
window and look for the "Roots" tab. If your texmf-local directory
is not listed, click "Add" and add it.
3) Unzip the revtex4-1-tds.zip (part of the REVTeX distribtution) in your
texmf-local directory.
4) Update the "File Name Database (FNDB)." This step is essential and
it registers all of the files in your texmf-local directory with MikTeX.
Do this by clicking on "Refresh FNDB" in the General tab of the MikTeX
Options window.
MikTex also comes with a package manager. This can be an easier way to maintain
the packages installed on your system. However, please note that the packages
available may not be the most current version of the packages.
라고 써 있다. 따라서 해 보자.
내 놋북에 miktex 폴더는 아무래도 Program Files 밑에 있는 것 같으니 거기에 texmf-local 이라는 걸 만들었다.
C:\Program Files (x86)\MiKTeX 2.9\texmf-local
Roots라는 탭을 찾아서 뭘 하라는데...
여기에 있다.
추가했다.
revtex4-1-tds.zip 를 그 안에다 풀었다.
C:\Program Files (x86)\MiKTeX 2.9\texmf-local\
그리고 그 밑에는
bibtex, doc, source, tex 이 있다.
그리고 나서 refresh FNDB 를 한다.
오 그랬더니 에러가 지나갔다.
그런데 또 다른 에러가
File `textcase.sty' not found. ㅠㅠ
https://tex.stackexchange.com/questions/152277/how-to-fix-latex-error-file-somepackage-sty-not-found
따라서 했는데 잘 안 됨. repository 서버 바꾸라는 얘기임.
그래서 여기서 하라는대로 MikTeX Package Manager 를 열어서 textcase 를 찾아서 그 패키지를 인스톨했다.
오!! 된다.
pdflatex으로 해서 바로 pdf로 내보내고 싶은데 일단은 dvi로 내보내고 Yap으로 보는 중.
2017년 9월 19일
과꾸로
출처: https://yongsop.tistory.com/90 [과꾸로:티스토리]
'컴퓨터 활용(한글, 오피스 등)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의 생산성을 '업'시켜줄 프로젝트 관리 툴 15선 (0) | 2025.02.07 |
---|---|
[Doxygen] 독시젠으로 코드 문서 만들기 총정리 (예제 포함) (0) | 2025.02.05 |
MiKTEX 구축 VScode Tex (0) | 2025.02.02 |
A first-timer setup guide to Emacs for LaTeX editing (0) | 2025.02.02 |
Setting up Emacs, LaTeX for Windows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