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 용어/용어

ATS 코너스톤 DSR 스튜어드십

by 3604 2025. 2. 18.
728x90

 

대체거래소(ATS) 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

  • 넥스트레이드 인가

 

 

코너스톤(Cornerstone)

 

출처: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33785

 

코너스톤(Cornerstone)이란,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보호예수 및 공모가격 인수를 조건으로 공모물량 일부를 공모가 확정 이전에 배정받는 대형 기관투자자를 의미한다.

코너스톤의 원래 뜻은 주춧돌, 초석이라는 의미로 외교상으로는 '공동의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꼭 필요한 동반자'의 의미로 쓰인다. 야구에서 '포수'를 일컫는 말로도 사용되는데 포수가 매우 중요한 포지션을 담당한다는 것을 내포한다.

코너스톤 제도 또는 코너스톤 투자자 제도는 지난 2007년 홍콩에서 만들어졌다. 이후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증시에서 주로 활용된다.

코너스톤 제도의 핵심은 상장 공모 이전에 발행사와 주관사가 핵심투자자를 미리 유치해 주식을 배정하는 것이다.

한국거래소는 공모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IPO 시장에 코너스톤 제도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히고 지난해부터 준비를 시작했다.

공모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찬성하는 의견도 있지만, 특정 투자자에게 혜택을 주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국내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신고서가 금융위원회에 제출돼 수리되지 않으면 모집이나 매출을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어 법 개정이 우선 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정책금융부 강수지 기자)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s://news.einfomax.co.kr)

 

 

DSR(Debt Service Ratio)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뜻합니다. 대출받은 사람의 소득 대비 대출원금과 이자상환액이 얼마나 부담이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DSR의 특징

 

DSR이 낮을수록 상환능력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DSR이 70%가 넘으면 위험대출, 90%가 넘으면 고위험대출로 규정됩니다.

금융위원회는 대출 상환 능력을 심사하기 위해 DSR을 대출 심사 지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DSR 규제

 

가계부채 대책의 일환으로 2024년 2월부터 '스트레스 DSR'이라는 규제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 DSR은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경우, 향후 금리 인상으로 원리금 부담이 상승할 가능성을 감안해 일정 수준의 스트레스 금리를 붙여 대출 한도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2024년 9월부터는 2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됩니다

 

스튜어드십(stewardship)은

누군가에게 어떤 것에 대한 관리를 위임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는 기관투자가가 의결권 행사 등으로 기업 경영에 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인의 재산을 관리하는 집사(steward)처럼, 기관투자가가 고객의 자산을 제대로 운용하는 데 필요한 행동지침을 뜻합니다.

 

스튜어드십 코드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투자대상의 지속가능한 성장 및 투자 수익률 제고

투자대상회사의 중장기 가치 향상

고객∙수익자의 중장기 이익 도모

자본시장∙한국경제의 건전한 성장과 발전

 

스튜어드십 코드의 도입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금융당국이 경영진의 전횡을 막기 위해 기관투자자의 견제 역할을 강조

스튜어드십 코드를 통해 투자자들은 투자 기업들의 행동변화를 꾀하고, 투자대상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ESG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