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manager 사용법
출처: https://hiseon.me/server/how-to-use-virt-manager/
virt-manager 사용법
virt-manager(Virtual Machine Manager)은 데스탑의 GUI 환경에서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관리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이글에서는 virt-manager를 설치하고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1ztuK/btrU3aGbzBI/NAQjYW4SclGeHFfe4GXYck/img.png)
virt-manager 설치하여 사용하기 전에 KVM 등의 가상화 솔루션이 먼저 설치되어야 합니다. KVM을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virt-manager 설치
우분투 리눅스 환경일 경우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virt-manager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 sudo apt install virt-manager
![](https://blog.kakaocdn.net/dn/IuGJ4/btrU14lVLR9/7Xf1sECfdaF0WUlbSgfHe1/img.png)
우분투 버전이 아니고 Fedora, Gentoo, OpenBSD 등의 다른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하고 계실 경우 배포판에 맞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 하시면 됩니다.
- Fedora : yum install virt-manager
- Debian : apt-get install virt-manager
- Gentoo : emerge virt-manager
- OpenBSD : pkg_add virt-manager
virt-manager 실행
데스크탑 환경의 GUI 일 경우, [Activities] 메뉴를 클릭 한 다음 virt-manager 를 검색해서 실행 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AAoRk/btrU01bY6nw/K29ZtKkk7ISunjFNGKdVs0/img.png)
원격서버에서 virt-manager 를 실행 할 경우 원격의 X윈도우를 포워딩 할 수 있도록 설정 된다음 실행해 주셔야 합니다. 실행된 모습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WkX5/btrU298lIBA/KkhPQsNNPdnOJ3DkfrFn81/img.png)
virt-manager 사용법
virt-manager 가상머신 생성
가상머신 설치 방법 선택
가장 먼저 가상 머신을 설치할 방법을 선택해 주셔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Local install media (ISO image or CDROM)을 선택하여 윈도우 ISO 파일로 윈도우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79ik/btrU15LUnyO/LEZuoluQaWw7OIXBhMgMTK/img.png)
설치 이미지 선택
다음은 선택할 ISO 이미지 파일 경로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ISO 이미지 파일로 운영체제 버전과 유형등을 함께 탐지하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ezDC/btrUTIZnufq/9atnnrfWMSoH5hIayrYVY0/img.png)
하드웨어 설정
가상머신에서 사용될 CPU와 메모리 등의 크기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Hypervisor에서 사용되는 물리 메모리와 CPU개수를 넘지 말아야 하며 Hypervisor에서 사용될 여유 리소스를 남겨두고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rOYWJ/btrUSuttIph/xxShYfr3DkNA67c6RGB8Xk/img.png)
디스크 설정
가상머신에서 사용될 디스크 크기를 지정해 줍니다. 디스크 크기를 지정하여 디스크를 만들 수 있지만, 기존에 생성된 디스크가 있을 경우 위치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bnDG/btrUTKphSbM/EMxkDalIazCmkl2ECWZPtk/img.png)
가상머신 정보 확인
생성될 가상머신 정보를 확인 합니다. 잘 못된 정보가 있을 경우 기존의 [Back]버튼을 클릭한 다음 다시 수정 후 설정해 도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tGYx/btrUWaOsctp/8IJQQxmQ1sbpfALiwgAEbK/img.png)
그리고 하단에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이 포함 되어있는데, NAT로 설정해도 되고 브릿지 연결이 있을 경우 브릿지를 지정해서 가상머신을 생성해도 됩니다.
가상머신 정보를 확인 후 [Finish]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가상머신이 실행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UBL9/btrUYoZQuTv/9F1llhb2mdTqkTklzDQkk1/img.png)
virt-manager 사용법과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컴퓨터 활용(한글, 오피스 등) > 50_2.운영체제_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점검 명령어 (0) | 2023.03.30 |
---|---|
리눅스 서버 시간 동기화 설정 방법 (0) | 2023.01.11 |
KVM 가상환경 구축 (0) | 2022.12.25 |
Qemu KVM 가상화 에뮬레이션 차이 (1) | 2022.12.25 |
리눅스에 윈도우 시스템 사용 wine winetricks (1)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