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수(O)를 세다/갯수(X)를 세다
우리는 평소 언어생활에서 ‘한 개씩 낱으로 셀 수 있는 물건의 수효’를 가리킬 때 ‘갯수를 세다’와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때 ‘갯수’는 틀린 표현으로 ‘개수’로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다.
한글 맞춤법 제30항은 두 음절로 된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에만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고 규정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개수(個數)’를 발음할 때 모음 뒤에 이어지는 뒷말을 된소리로 [개쑤]와 같이 발음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두 음절로 된 한자어라도 한글 맞춤법에서 규정한 단어 외에 다른 단어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아야 하므로 ‘개수’로 써야 한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헷갈리기 쉬운 표현은 한글 맞춤법을 참고하여 올바르게 사용하도록 노력하고, 단어의 올바른 뜻과 쓰임에 대해서는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을 활용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학년 별(X) 수업 시간표/학년별(O) 수업 시간표
매년 다양한 기관에서 실시되는 맞춤법 관련 설문조사에서 한국인이 가장 어려워하는 맞춤법 분야로 띄어쓰기가 선정되곤 한다. 특히 우리말에는 한 글자로 된 단어들이 많은데, 이들은 명사, 관형사, 의존명사, 접미사 등으로 구분하여 띄어 써야 하는 경우가 다르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 가지 예로 주로 ‘그것에 따른’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별’은 ‘학년별’처럼 앞 말에 붙여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다. ‘별’은 일부 명사 뒤에 붙어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접미사로 혼자 독립적으로 쓰이지 못하기 때문에 ‘능력별’, ‘성별’, ‘직업별’과 같이 앞말과 반드시 붙여 써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띄어쓰기를 할 때는 그 단어가 가지고 있는 문법적인 성질이 무엇인지를 판단하여 한글 맞춤법에 따라 올바르게 표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청주대국어문화원>
출처: https://www.cju.ac.kr/cjunews/selectBbsNttView.do?bbsNo=1399&nttNo=104364&&pageUnit=10&key=3530&pageIndex=21
'생각 >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 ~내 띄어쓰기 (0) | 2023.02.06 |
---|---|
‘-시키다/~화시키다’의 띄어쓰기 (0) | 2023.02.04 |
하도록 토록 (0) | 2023.02.03 |
'~(으)로서', '~(으)로써' 사용법 (0) | 2023.02.03 |
공개SW 유지관리 사업 별도 발주 (0) | 2023.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