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용어249 IT 법률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클라우드 보안인증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3조 제2항에 따라 정보보호 기준의 준수여부 확인을 인증기관이 평가·인증하여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2023. 1. 10. 클라우드 보안인증제 1. 클라우드 보안인증제의 개요 가. 클라우드 보안인증제의 정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3조 제2항에 따라 정보보호 기준의 준수여부 확인을 인증기관이 평가·인증하여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나. 클라우드 보안인증제의 특징 -(공공기관이 이용), 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안전성 및 신뢰성 제공 -(서비스 경쟁력 확보), 객관적이고 공정한 인증을 통해 이용자의 보안 우려 해소 및 이를 통한 경쟁력 확보 -(인증, 심사 기관), 한국인터넷진흥원을 통한 인증체계 관리 2. 클라우드 보안인증제의 구성 1) 인증 유형 구분 분야 통제항목 IaaS 14개 117개 Sa.. 2023. 1. 10. 클라우드_도커 Docker 도커 개요 출처: https://ohju.tistory.com/135 도커는 가상 실행 환경을 제공해주는 오픈소스 플랫폼 입니다. 도커에서 가상 실행 환경을 컨테이너(Container)라고 부릅니다. 도커 플랫폼이 설치된 곳이면 컨테이너로 묶인 애플리케이션을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빠르게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게 되어 서비스 또한 빠르게 배포할 수 있는 방법은 도커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 2022. 12. 16. DR 재해복구 [이해하기] DR (Disaster Recovery, 재해복구) 2020-06-28/ 출처: https://www.stevenjlee.net/2020/06/28/%EC%9D%B4%ED%95%B4%ED%95%98%EA%B8%B0-dr-disaster-recovery-%EC%9E%AC%ED%95%B4%EB%B3%B5%EA%B5%AC/ IT 분야 에서의 DR (Disaster Recovery, 재해복구) 이란, 각종 재해 및 위험요소에 의해 서비스나 시스템이 중단 됐을 때 이를 정상 상태로 복구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IT 영역 에서의 재해는 다음과 같은 경우를 모두 포함합니다. (1) 외부 요인 – 지진, 태풍, 홍수, 화재 등의 자연 재해 – 테러로 인한 폭파, 전쟁, 해킹, 통신 장애, 전력공급 차단 등.. 2022. 12. 15. 용어_ISP EA ISMP 2018년 12월 17일 ISP, EA, ISMP 출처: http://blog.skby.net/isp-ea-ismp/ I. 정보화 전략 계획, ISP, EA, ISMP 가. ISP(Information Strategy Plan)의 개념 경영전략 분석결과에 따른 정보화 비전, 목표 및 전략을 기반으로한 운영/관리 체계와 정보 기술구조 수립 및 이행 계획 나. EA(Enterprise Architecture)의 개념 정보 기술 활용 아키텍처와 시스템을 총괄하여 업무/관리 프로세스와 정보기술 간 관계를 표현한 청사진 다.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의 개념 IT 개발 사업의 상세 분석과 RFP 마련 위해 현황 및 요구사항 분석 및 이행 계획 수립 활동 II. 정보화 전략 .. 2022. 12. 12. 이전 1 ··· 45 46 47 48 49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