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157

국어_대비 준비 채비 차이 1. ‘대비’는 앞으로 일어날지 모르는 상황에 대응하고자 미리 준비함을 뜻한다. - 예시: “어려움을 예측하고 대비했더라면 사정이 지금보다는 나아졌을 것이다.” - 활용: ‘대비’는 정확히 알진 못하지만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상황, 시간적으로 좀 먼 앞일을 대상으로 함 2. ‘준비’는 미리 마련하거나 갖추는 것을 이른다. - 예시1: “어머니께서는 맏딸의 결혼 준비로 바쁘시다.” - 예시2: “강·약점 확인해 외고 시험 집중 채비해야”에서는 ‘채비’가 아니라 ‘준비’를 쓰는 것이 정확하다. - 활용: ‘준비’가 이미 아는 일, 당면해 있는 일을 대상으로 함 3. ‘채비’는 ‘어떤 일을 하기 위해 필요한 물건, 자세 따위를 미리 갖추어 차림. 또는 그 물건이나 자세’를 의미한다. - 예시1: “아내는 외.. 2024. 2. 14.
공문서 작성 방법 1. 날짜 표기법 2021.∨7.∨15.(목) 2024년∨7월∨15일 공문서 작성(날짜, 시간, 기간, 금액,) (tistory.com) 2. 명사형 붙여쓰기 - 수정 전 온점 뒤에는 1타 띄 움 - 수정 후 온점 뒤에는 1타 띄움 3. 공문서 작성 지침 준수 4. 표준어 및 맞춤법 점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 (pusan.ac.kr)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2024. 2. 14.
Function Point 문제풀이 출처: http://www.jidum.com/jidums/view.do?jidumId=580 태그 : 문제) 기능점수(Function Point) 측정에 대하여 아래의 내용을 근거로 각 질문에 답하시오. [업무기능요건] 가. 인사담당자가 인사기본정보(사원DB,부서DB)를 관리한다. 나. 인사담당자가 임직원의 직무정보(사원DB,직무DB)를 산업인력관리공단의 표준직무 DB와 연계하여 관리한다. 다. 인사담당자가 부서별 각종 최신 통계자료(사원DB, 직무DB, 부서DB)를 조회 출력한다. 1) 기능점수 산출방법의 간이법과 정규법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2) 간이법을 적용하여 주어진 [업무기능요건]에 대한 트랜잭션 기능(Transaction Function)과 데이터 기능 (Data Function)을 산.. 2024. 2. 7.
[비공개] 아파트 살 때 2024. 2. 1.
클라우드 시대의 SI 변화와 역할 출처: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systems_integrator.html 클라우드 이전의 SI IT 환경의 변화는 클라우드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클라우드 이전에는 SI (Systems Integrator)가 중심이 되어 여러 분야에 걸쳐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합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었습니다. SI는 다양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산업 및 기술에 대한 전문 지식을 보유하며, 복잡한 IT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일을 담당했습니다.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미들웨어 등 광범위한 기술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이질성을 해소하는 데에도 능숙했습니다. 이들 SI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 2024.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