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활용(한글, 오피스 등)/50_2.운영체제_리눅스235 스카우터 설치 및 실행(+Jenkins, SpringBoot) [scouter] 스카우터 설치 및 실행(+Jenkins, SpringBoot) 출처: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mj9030&logNo=222548585671&parentCategoryNo=&categoryNo=10&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APM (Application Perpermance Monitoring) 어플리케이션 성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툴이다. ? 공공/금융 기업은 주로 제니퍼(Jennifer)라는 APM(상용)을 많이 사용한다. 스카우터는 이 중 톰캣 또는 JBoss 같은 톰캣 계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한정되어 사용할 수 있는 APM 모니터링 툴이다. Scouter 스카우.. 2023. 5. 11. 오픈소스 APM 툴인 Scouter 설치 이번 글에서는 오픈소스 APM 툴인 Scouter에 대해 공부해보려 한다. 출처: https://syhwang.tistory.com/100 1. 스카우터란? - 스카우터는 복잡한 N-Tier 환경의 웹 기반 시스템에 대해 효율적인 성능 모니터링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키는 오픈소스 APM 툴이다. 1-1. 제품의 특성 웹 어플리케이션 관리 (실시간 모니터링) 비지니스 트랜잭션 관리 (성능/안정성) 오픈소스 모니터링 및 확장 팩 (성능/안정성) 사용 사례의 증가 (호환성/확장성) 1-2. 스카우터 활용 1-2-1. 서비스 모니터링 동시 사용자 응답 시간 실시간 처리 현황 1-2-2. 리소스 모니터링 CPU, 메모리 사용량 DB 커넥션 파일 I/O 1-2-3. 장애 분석 및 해결.. 2023. 5. 11. 스카우터 오픈소스 APM 툴 설치 오늘은 스카우터라는 오픈소스 APM 툴 설치하는 방법을 가이드 하려고 합니다. 1. APM (Application Perpermance Monitoring) 이란? 말 그대로 어플리케이션 성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툴 입니다. 주로 개발시기에는 에러검출용(?) 운영시기에는 성능 모니터링 용도로 많이 사용됩니다. 공공/금융 기업은 주로 제니퍼라는 APM(상용)을 많이 씁니다. 스카우터는 이 중 톰캣 또는 JBoss 같은 톰캣 계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한정되어 사용할 수 있는 APM 모니터링 툴 입니다. 2. 환경 정의 - 스카우터 버전 1.7.3.1 버전 기준으로 합니다. - 스카우터는 윈도우 클라이언트(로컬환경), 서버 수집서버, 서버 에이전트로 구분 되어 설치 됩니다. - 우분투 서버에서 스카우터 수.. 2023. 5. 11. 오픈소스 apm - scouter + scouter paper 오픈소스 apm - scouter + scouter paper 2019. 3. 22. 18:10 출처: 오픈소스 apm - scouter + scouter paper (tistory.com) 개요 · 스카우터 + 스카우터 웹 UI · Scouter 설치 · wget https://github.com/scouter-project/scouter/releases/download/v2.6.1/scouter-all-2.6.1.tar.gz · 최신버전이 필요하면 위의 git url에서 release 중 최신 다운로드 · 다운로드 후 tar zxvf scouter-all-2.6.1.tar.gz · server, host agent, java agent 등 모든게 다 있음. · 우리는 server만 필요하므로 적당한 .. 2023. 5. 11. SSH 연결 SSH 기본개념 SSH는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하며 어떤 부분이 편리한지에 대해 알아본다. SSH 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링크를 참고하자. 아래 내용은 macOS환경에 대해서만 다룬다. 일반적인 개발서버는 리눅스환경이기 때문에 조금 더 많은 설정(open-ssh 설치를 포함)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맥락은 크게 다르지 않다. SSH 소개 SSH(Secure Shell)는 원격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뜻 그대로 보안 셸이다. 기존의 유닉스 시스템 셸에 원격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던 텔넷은 암호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계정 정보가 탈취될 위험이 높으므로, 여기에 암호화 기능을 추가하여 1995년에 나온 프로토콜이다.(SSH는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된.. 2023. 5. 9.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