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활용(한글, 오피스 등)583

[네트워크] 넷마스크 - 프리픽스 변환표 출처: [네트워크] 넷마스크 - 프리픽스 변환표 (tistory.com) 넷마스크 - 프리픽스 변환 Netmask prefix host 255.255.255.255 /32 1 255.255.255.254 /31 2 255.255.255.252 /30 4 255.255.255.248 /29 8 255.255.255.240 /28 16 255.255.255.224 /27 32 255.255.255.192 /26 64 255.255.255.128 /25 128 255.255.255.0 /24 256 255.255.254.0 /23 512 255.255.252.0 /22 1,024 255.255.248.0 /21 2,048 255.255.240.0 /20 4,096 255.255.224.0 /19 8,192 2.. 2023. 12. 20.
기업용 네트워크에서 Apple 제품 사용하기 출처: 기업용 네트워크에서 Apple 제품 사용하기 - Apple 지원 (KR) 기업용 네트워크에서 Apple 제품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호스트 및 포트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문서는 기업 및 교육 기관 네트워크 관리자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Apple 제품에서 이 문서에 나와 있는 인터넷 호스트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기가 호스트에 연결하고 프록시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기 관리 MDM에 등록된 Apple 기기가 다음 호스트 및 도메인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호스트포트프로토콜OS설명프록시 지원 *.push.apple.com 443, 80, 5223, 2197 TCP iOS, iPadOS, tvOS 및 macOS 푸시 알림 APNS 및 프록시에 대해 자.. 2023. 12. 20.
리눅스 오래된 파일 자동 삭제하기 (shell script, crontab) 출처: https://tyson.tistory.com/233 리눅스에서 tmp 폴더에 더미 파일이 많이 쌓여서, 몇일 지난 파일은 자동으로 삭제하고 싶을 때 1. 먼저 날짜 몇일 이상 지난 파일 찾기 > find 폴더 -name 파일명 -mtime +일수 > find /tmp/ -name '*.tar' -mtime +30 이렇게 쓰면 31일 지난 파일 목록이 뜬다. 쓰는 숫자에 +1 계산해야된다. 2. 삭제하기 > find /tmp/ -name '*.tar' -mtime +30 -delete delete 옵션을 사용하면 31일지난 파일은 삭제된다. 3. 쉘 스크립트 만들기 > vi test.sh 를 열고 아래처럼 작성한다. #!/bin/sh find /tmp/ -mtime +30 -delete 저장하고 .. 2023. 12. 19.
리눅스 임시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출처: https://colinch4.github.io/2023-09-12/11-28-01-428779-%EB%A6%AC%EB%88%85%EC%8A%A4-%EC%9E%84%EC%8B%9C-%ED%8C%8C%EC%9D%BC-%EB%B0%8F-%EB%94%94%EB%A0%89%ED%86%A0%EB%A6%AC-%EA%B4%80%EB%A6%AC/ 리눅스 운영체제는 임시 파일 및 디렉토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임시 파일 및 디렉토리는 작업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임시 파일과 디렉토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정성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임시 파일 관리 임시 파일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하고 사용한 후에 삭제되는 파일.. 2023. 12. 19.
su/ su - / sudo 명령어, 차이 출처: su/ su - / sudo 명령어, 차이 (velog.io) 리눅스에서 특정 명령을 실행하거나 , 특정 파일에 접근하기 위해서 때로는 루트(root) 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게 되는 su / su- / sudo 명령어들과 각 명령어들의 차이점, 현재 계정을 확인하는 whoami 명령어와 계정 전환 후 다시 이전 계정으로 돌아가게 하는 logout /exit 명령어들에 관한 내용이다. 우선, 일반 사용자(user)가 루트(root)권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u(Switch User) 혹은 sudo(SuperUser DO )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1. su (Switch User) 명령어 Switch User에서 알 수 있듯이 ,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하지 않고 다른 계정.. 2023.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