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램 개발(분석, 설계, 코딩, 배포)227

개발_java_java6 java7 문제 개요 kth 내부 서비스 또는 kt 용역 서비스 중 상당수는 호환성이라는 명목 하에 java6 / java7 로 개발/유지보수하는 프로젝트들이 많이 있습니다. 물론 java6 / java7 로 개발한다고 잘 돌던 서비스가 당장 멈추거나 하는 일은 없을겁니다만 서비스 품질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경쟁사에 뒤쳐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1) 보안 2) 가용성 3) 호환성 4) 기술 역량 보안 oracle java6 의 End of Public Update 는 2013년 2월, java7은 2015년 4월에 종료되었습니다. 무슨 말인고 하면, 누군가가 java의 새로운 보안 결함을 발견한다면 java6 / java7 로 개발된 서비스는 더이상 보안 업데이트가 없다는 뜻입니다. 다음 사이트(oracle jre 링크.. 2022. 11. 6.
개발_RPC_COM 스텁 프록시 마샬링 언마샬링 스텁 프록시 마샬링 언마샬링 참고 URL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50&MAEULNo=20&no=178730&ref=178713 COM객체(로컬) - proxy - 마샬링 - (네트워크) - 언마샬링 - stub - COM객체(원격) 프록시와 스텁을 이해하시려면 먼져 com을 이해 하셔야 하구, com을 이해 하시려면 가 상 함수를 이해 하셔야 합니다. 1. 가상 함수 가상 함수가 객체에 정의 의해 구현 될때 객체는 가상함수 table의 주소를 가지는 변수 를 포함 합니다. 그리고 객체 영역 밖의 부분에 가상 함수 table의 생성 됩니다. 가상 함수 table이란 현재 객체에 정의된 모든 가상 함수의 코드 주소를 저장 합니다... 2022. 11. 4.
개발_C++_가상함수(virtual, override 키워드) [C++] 가상 함수 (virtual, override 키워드) References Effective C++ (항목 9) 씹어먹는 C++ (https://modoocode.com/210) Contents 가상 함수 (virtual 키워드) 오버라이드(override 키워드) 다형성 (polymorphism) 생성자/소멸자에서의 가상 함수 호출(주의사항) 2021.07.28 - [C & C++] - [C++] 가상 소멸자 [C++] 가상 소멸자 Reference Effective C++ (항목 7) Contents 다형성을 가진 기본(base) 클래스에서의 소멸자 가상 소멸자 가상 함수 테이블 아래와 같은 TimeKeeper라는 기본(base) 클래스가 있고, 이 클래스를 상속받는 AtomicCl.. ju.. 2022. 11. 4.
분석_기능점수_기능별 분류 [FP유형 의미] FP유형 영문명 한글명 사용예 EI Exteranl Input 외부입력 EO External Output 외부출력 평균, 합계 등 기타 수식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를 사용한 파생데이터인 경우 EQ External Inquiries 외부조회 Select * from 등으로 DB의 데이터를 게산없이 그대로 표출하는 경우 ILF Internal Logical Files 내부논리파일 EIF Externa Interface Files 외부연계 파일 타시스템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DB에 저장하고 이를 표출하여 보여주는 경우. 단, API를 이용하여 보여주기만하고 API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으면 이는 해당하지 않음(이는 EQ 또는 EO에 해당함) 선택한 FP유형에 맞게 단위프로세스명을 작성해야 하는데요,.. 2022. 11. 1.
기능점수 비용 산정 한국소프트웨어측정원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ugenzhe&logNo=90108056587 □ 필요성 지식경제부 고시로 규정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의 기준은 국가기관 등이 정보전략계획 수립, 소프트웨어 개발, 소프트웨어 재개발, 데이터베이스구축, 시스템운용환경구축,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등의 정보화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및 사회적 여건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소프트웨어 산업과의 선순환적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사업에 대한 예산수립, 사업발주, 계약 시 적정원가계산 등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의 기준은 1989년 제정된 이후 국제 표.. 2022.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