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79458&pageIndex=1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 하고자 함을 줄여 ~코자 함으로 쓸 수 있나요?
~ 하고자 함을 줄여 ~코자 함으로 쓸 수 있나요?
질문처럼 줄여쓸 수 있는지
줄여쓴다면 저렇게 쓸 수 있는게 맞는지요~
※이동통신 기기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답변]준말
안녕하십니까?
'○○을 하고자 함'과 같이 동사 '하다'가 쓰인 것이라면 '하고자'를 줄여 쓸 수 없습니다. 다만, '생각하고자', '연구하고자'와 같은 경우라면 '생각고자', '연구코자'와 같이 줄여 쓸 수 있습니다. '하' 앞의 받침의 소리가 [ㄱ, ㄷ, ㅂ]이면 ‘하’가 통째로 줄고 그 외의 경우에는 ‘ㅎ’이 남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40 항과 그 해설의 내용을 아래에 덧붙이니 이를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참고>
제40항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는다.
간편하게 | 간편케 | 다정하다 | 다정타 |
연구하도록 | 연구토록 | 정결하다 | 정결타 |
가하다 | 가타 | 흔하다 | 흔타 |
거북하지 | 거북지 | 넉넉하지 않다 | 넉넉지 않다 |
생각하건대 | 생각건대 | 못하지 않다 | 못지않다 |
생각하다 못해 | 생각다 못해 | 섭섭하지 않다 | 섭섭지 않다 |
깨끗하지 않다 | 깨끗지 않다 | 익숙하지 않다 | 익숙지 않다 |
어간의 끝음절 ‘하’가 줄어들면 줄어드는 대로 적을 것을 규정하고 있다. ‘간편하게’가 [간편케]가 되면 ‘간편케’로 적는다. 그런데 어간의 끝음절 ‘하’가 줄어드는 방식은 두 가지이다.
첫째, ‘하’가 통째로 줄지 않고 ‘ㅎ’이 남아 뒤에 오는 말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되는 경우다. 이럴 때는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 무능하다→무능타
- 부지런하다→부지런타
- 아니하다→아니타
- 감탄하게→감탄케
- 달성하게→달성케
- 실망하게→실망케
- 당하지→당치
- 무심하지→무심치
- 허송하지→허송치
- 분발하도록→분발토록
- 실천하도록→실천토록
- 추진하도록→추진토록
- 결근하고자→결근코자
- 달성하고자→달성코자
- 사임하고자→사임코자
- 청하건대→청컨대
- 회상하건대→회상컨대
둘째, ‘하’가 통째로 줄어드는 경우다. 이때도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 생각하다 못해→생각다 못해
- 생각하건대→생각건대
- 익숙하지 못하다→익숙지 못하다
- 갑갑하지 않다→갑갑지 않다→갑갑잖다
- 깨끗하지 않다→깨끗지 않다→깨끗잖다
- 넉넉하지 않다→넉넉지 않다→넉넉잖다
‘하’가 줄어드는 기준은 ‘하’ 앞에 오는 받침의 소리이다. ‘하’ 앞의 받침의 소리가 [ㄱ, ㄷ, ㅂ]이면 ‘하’가 통째로 줄고 그 외의 경우에는 ‘ㅎ’이 남는다.
- [ㄱ] 넉넉하지 않다→넉넉지 않다→넉넉잖다
- [ㄷ] 깨끗하지 않다→깨끗지 않다→깨끗잖다
- [ㅂ] 답답하지 않다→답답지 않다→답답잖다
- [ㄴ] 결근하고자→결근코자
- [ㄹ] 분발하도록→분발토록
- [ㅁ] 무심하지→무심치
- [ㅇ] 회상하건대→회상컨대
- [모음] 개의하지→개의치
'생각 >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문서 양식 (0) | 2025.01.31 |
---|---|
맞춤법 되 돼 차이 (0) | 2024.12.27 |
맞춤범 띄어쓰기 금액 원 원권 (0) | 2024.12.21 |
맞춤법 연도와 년도 (0) | 2024.11.28 |
[우리말 바루기] ‘데’의 띄어쓰기 (0)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