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글쓰기106

종결 어미, 평서문(서술문) 어미, 의문문 어미, 명령문 어미, 청유문 어미, 감탄문 어미, 격식체, 비격식체 출처: https://adipo.tistory.com/entry/%EC%A2%85%EA%B2%B0%EC%96%B4%EB%AF%B8 종결 어미, 평서문(서술문) 어미, 의문문 어미, 명령문 어미, 청유문 어미, 감탄문 어미, 격식체, 비격식체 종결어미는 하나의 문장을 끝맺으면서 말하는 이의 태도에 따라 평서문(서술문) 어미, 의문문 어미, 명령문 어미, 청유문 어미, 감탄문 어미로 나눈다. ① 평서문 어미 평서문은 사실에 대한 인식 내용을 진술, 서술하는 문장으로 평서문을 만드는 어미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 -다/ㄴ다/는다/라 평서문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어미라고 할 수 있는데 어떤 사실을 표현함에 있어 단정적임을 알 수 있다. 청자경어법의 등급에서 아주낮춤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는 형용사와 .. 2023. 3. 7.
띄어쓰기 -간 출처: 국어국립원, https://m.blog.naver.com/areumkor/222134289741 관계, 사이, 선택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로 쓰일 때는 띄어 쓰고, 명사에 붙어 합성어로 굳어진 경우에는 붙여 써요. ​ 친구 간/상호 간/서로 간/세대 간/사람 간 국가 간/서울과 부산 간의 왕복 열차 ​ 부부간/고부간/부자간/피차간/조만간 수년간/사흘간/며칠간/한달간/십년간 2023. 2. 28.
맞춤범 마침표, 쉼표, 물음표, 느낌표 출처: https://siwolwol.tistory.com/103 마침표 (.) (period) ‘온점’이라는 용어도 허용.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사용. 1.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때 마침표를 모두 씁니다. 예) 2021.5.16. (O) 2021.5.16 (X) 2. 용언의 명사형으로 끝나는 문장, 명사로 끝나는 문장, 직접 인용한 문장의 끝에는 마침표를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쓰지 않는 것도 허용) 예) 민지가 방을 치웠음. (원칙) 민지가 방을 치웠음 (허용) 방 치우기. (원칙) 방 치우기 (허용) 그는 “방부터 치우자.” 라고 말하며 밖으로 나갔다. (원칙) 그는 “방부터 치우자” 라고 말하며 밖으로 나갔다. (허용) + 명사형 어미나 명사로 끝나는 문장.. 2023. 2. 25.
AI 바둑 이기는 법 이기는 방법 유투브: https://www.youtube.com/watch?v=NbaM84BEAA0 출처: https://www.ft.com/content/175e5314-a7f7-4741-a786-273219f433a1 Please use the sharing tools found via the share button at the top or side of articles. Copying articles to share with others is a breach of FT.com T&Cs and Copyright Policy. Email licensing@ft.com to buy additional rights. Subscribers may share up to 10 or 20 articles per .. 2023. 2. 22.
맞춤법 연도 년도 1. 사용 예시 - ‘년도’는 ‘2019년도’에서와 같이 해(年)를 지칭하는 말 뒤에 쓰여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해를 가리킬 때 사용됨 - ‘연도’는 ‘회계연도’ ,‘1차 연도’처럼 편의상 구분한 1년 동안의 기간이나 앞의 말에 해당하는 그해를 가리킴 2. 원칙 - 맞춤법에 따르면 ‘녀·뇨·뉴·니’로 시작하는 한자음이 단어 첫머리에 올 때는 두음법칙에 따라 ‘여·요·유·이’로 표기해야 함.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어야 함. 3. 주의사항 ‘회계연도’는 단어의 첫머리가 아니므로 ‘회계년도’와 같이 본음대로 적기 십상이나 ① 독립성 있는 단어에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② 두 개의 낱말이 결합해 합성어가 된 경우 뒤의 단어에도 두음법칙이 적용된다는 예외 규정이 있어 ‘.. 2023. 2. 18.